본문 바로가기
STUDY/Python

[Python] 변수 및 기본타입

우선 Python 앞서 언급한 것처럼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지 않는 동적 타입 언어이다.

 

따라서 아래와 같이 별도로 타입을 명시하지 않는다.

>>> num = 10
>>> num
10

 

Type 확인 & 형변환

 

기본적인 형변환은 정수, 실수, 문자열 변환으로 생각할 수 있다.

정수는 int(), 실수는 float(), 문자열 str() 함수를 사용한다.

 

또한, 해당 변수의 타입 확인은 'type()' 을 통해 할 수 있다.

>>> num = 10
>>> str_V = str(num)    # 문자열 변환
>>> fl = float(num)     # 실수 변환
>>> type(num)
<class 'int'>
>>> type(str_V)
<class 'str'>
>>> type(fl)
<class 'float'>

 

 

문자열 함수

 

# 문자열 복사

 

Python 에서는 '*' 를 통해 문자열을 복사가 가능하다.

>>> s = "Hi  "
>>> s * 2
'Hi  Hi  '

 

# slice

 

'[ ]' 를 통해 해당 인덱스의 문자열을 가지고 올 수 있고,

'[start:end]' 를 통해 슬라이스가 가능하다. 전부 생략할 경우, 모든 문자열을 의미한다.

 

( '[start:end:step]' 도 가능 )

>>> s = "Hello"
>>> s[1]        # e
'e'
>>> s[:]        # 전체 문자열
'Hello'
>>> s[1:3]      # el
'el'
>>> s[:4:2]     # Hl
'Hl'

 

# join

 

join 을 원하는 문자열을 사이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(?)   ( split 반대 개념 )

>>> str_Arr = ['A', 'B', 'C']
>>> ','.join(str_Arr)
'A,B,C'

위의 코드 처럼 배열 요소 사이에 ',' 문자열을 추가해 문자열을 반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# 대문자 & 소문자

 

첫 글자 대문자 변환, 대&소문자 변환 등의 함수가 있다.

>>> st = "hello, python"
>>> st.title()
'Hello, Python'

 

 

 

 

'STUDY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ython] 클로져  (0) 2020.02.23
[Python] 함수  (0) 2020.02.17
[Python] 조건문 & 제어문  (0) 2020.02.16
[Python] 리스트 & 튜플  (0) 2020.02.09
[Python] Python 시작하기  (0) 2020.02.09